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8

연료가스의 종류와 특성 가. 연료가스의 성분 열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연료가스는 포화탄화수소(CH4, C3 H8, C4 H10, 등 CnH2n+2의 화합물), 불포화 탄화수소 C2H₂(C2 H2, C3 H6 등 CnH2 n-2의 화합물), CO, H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 연료가스의 종류 연료가스는 제철소의 고열로(高熱爐)에서 발생되는 고로가스, 석탄을 건류(乾溜)하여 얻는 코크스 가스, 원유를 정제할 때 나오는 유(油) 가스,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납사분해가스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LPG와 LNG를 연료용 가스로 사용하고 있다.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석유가스(LPG : Liquefied Petroleum Gas)는 유전에서 원유를 채취하거나 원유 정제 시에 나오는 탄화수.. 2022. 10. 28.
가스란 무엇인가?, 가스의 분류 가스의 분류 가. 물리적 상태에 따른 분류 가스란 기체 상태의 물질을 말하는데 저장 ·취급하는 상태에 따라서 압축가스 , 액화가스, 용해 가스의 3가지 종류로 구분한다. 압축가스란 수소,질소,메탄 등과 같이 임계온도가 상온(常溫:14.5~15.5°C) 보다 낮아 상온에서 압축시켜도 액화되지 않고 단지 기체상태로 압축된 가스를 말한다. 액화가스란 프로판, 부탄, 탄산가스 등과 같이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높아 상온에서 압축시키면 비교적 쉽게 액화되는 가스로 액체상태로 용기에 충전하는 가스이다. 액화가스 중 액화산소, 액화질소 등은 초저온에서 액화한 후에 단열 조치를 하여 초저온상태로 저장한다. 용해 가스는 아세틸렌과 같이 압축하거나 액화시키면 스스로 분해 폭발을 일으키는 가스이기 때문에 용기에 다공 물질과 가.. 2022. 10.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