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ESG 책임투자의 현황 및 효과

by stoen13 2022. 11. 3.
반응형

연기금

해외에서의 ESG 투자는 주로 연기금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보스턴대학교 은퇴연구센터 (CRR)에서 발표한 ‘ESG Investing and Public Pensions: An Update'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공적 연기금 (Public Pension Fund)
은 1970년대부터 사회적 투자 (Social Investing)를 실시해 왔으며 2018년 기준 약 3조 달러에 달하는 자산에 ESG 

평가모형을 부여했다고 한다. 미국 시카고 전 재무관 Kurt Summers도 정부를 대표한 투자자들을 통해 기업을움직일 수 

있다고 하며 정부투자펀드와 연금이 지속가능한 투자 확대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를 했다.

기관투자자들은 지속적으로 ESG 투자를 늘렸으며 그 중에서 정부기금 (Public Fund)을 비롯한 공공투자 형태가 절반
이상 (54%)을 차지했다. 

국내에서의 ESG 투자는 그 규모면에서 연기금 등 공적기관투자자들이 주도하고 있는 측면이 크다. 

이시연 (2021)에 따르면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인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 및 확산은 공적 연기금들이 

사회책임 투자를 확대하려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며, 현재까지 국민연금기금, 공무원연금기금, 사회연금기금이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에 참여했고 우정사업본부는 참여 예정 계획서를 제출한 상황이다. 그중에서 국민연금은 ESG 투자에

있어 국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수행하는 기관이며 사회책임투자 규모를 지속적 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2020)에서 국내 주요 연기금의 ESG 투자 현황에 대해 공시하였는데 국민연금이 타 기관에 비해 압도적으로 큰 규모의

책임투자를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민연금의 투자 유형은 직접투자와 위탁운용으로 나뉠 수 있으며 

위탁운용은 국민연금이 수익률을 제고하고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외부 운용사에 투자 및 자산관리를 위탁하는 방식이다.
이상수 (2019)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2006년 이래 책임투자에 대해 관심을 보였고 2015년에 개정한 국민연금법에서 투자 진행 시 ESG와 관련된 사회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항목을 명시하였다. 또한 2018년에는 기업 의결권 행사에 관여할 수 있는 스튜어드십 코드 (Stewardship Code), 즉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하는 지침을 도입해서 장기적인 수입 증대를 위해 책임투자를 확대하려는 계획을 수립했다. 그림 Ⅳ-3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연기금의 전체 기금운용 규모 및 책임투자 규모를 집계한 통계이다.
국민연금은 특히 2018년에 스튜어드십 코드를 새로 도입한 후 책임투자 규모가 전년도에 비해 288% 성장했다. 올해 기준 국민연금의 전체 기금운용 규모는 약 882조 원에 달하며 그 중 국내주식이 132조 원, 국내 채권이 310조 원의 규모이다.

국내 주식 직접운용 중 책임투자 적용금액이 83.4조 원, 위탁운용 중 책임투자 적용금액이 7.7조 원, 국내 채권 직접운용 중 책임투자 적용금액이 38.2조 원을 기록했다. 따라서 국내 기준으로 채권보다 주식 선정 시 더욱 ESG 기준을 고려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책임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려는 의도에도 불구하고, 아직 ESG 적용 기준을 공개하지 않아서 책임투자와 관련된 각 분야의 구체적 투자 비중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응형

댓글